its_jh_stroy

구름 ide에서 MySQL 사용해보기 본문

IT Story

구름 ide에서 MySQL 사용해보기

_J_H_ 2023. 12. 26. 23:40

구름 IDE란?

개인적으로 프로젝트를 준비하는데,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어떻게 할지 고민하다 구름 IDE를 찾게 되었다.

구름 IDE는 웹 브라우저에서 클라우드 기반의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.

클라우드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, 웹 브라우저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.

이것을 활용하여 단순 코딩뿐 아니라 서버를 구축하거나 협업을 할 수도 있다.

이번 포스팅에서는 MySQL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구축하는 내용을 작성할 것이다.

 

구름 IDE에서 MySQL 데이터베이스 서버 구축하기

컨테이너 생성

https://ide.goorm.io/my/dashboard

위 사이트에서 로그인 후 "+새 컨테이너" 버튼을 클릭하여 컨테이너를 생성한다.

컨테이너 스택은 각자 개발하고자 하는 스택으로 선택한다.

 

MySQL 설치

생성된 컨테이너에 접속하여 MySQL을 설치하고 시작한다.

sudo apt-get install mysql-server

# 설치한 MySQL 시작
service mysql start

 

 

MySQL 사용자 설정

아래 명령을 통해 MySQL에 접속한다.

# root 계정으로 접속 요청
mysql -u root -p

 

데이터베이스 생성

MySQL을 처음 생성했다면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.

데이터베이스를 만들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라면 이 과정은 생략해도 된다.

# mydb라는 이름의 데이터베이스 생성
CREATE DATABASE mydb;

# 데이터베이스 조회
SHOW DATABASES;
USE mydb;

 

 

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생성 및 권한 설정

root 계정이 아니라 새로운 계정을 만들어 사용할 것이다.

따라서 사용자를 추가하고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에 대한 권한을 부여한다.

# 계정 생성
# ex) 계정 : myacct / 비밀번호 : 0000
# -> CREATE USER 'myacct'@'%' IDENTIFIED BY '0000';
CREATE USER '사용할 계정'@'%' IDENTIFIED BY '계정 비밀번호';

# mydb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테이블에 대한 권한 부여
GRANT ALL PRIVILEGES ON mydb.* TO 'myacct'@'%' IDENTIFIED BY '0000';

# MySQL 환경 설정 적용
FLUSH PRIVILEGES;

 

my.conf 설정

아래 명령으로 해당 경로에 접속하여 my.conf 파일에 접속한다.

cd /etc/mysql
vim my.conf

 

i 키를 눌러 입력 모드로 전환한 후 아래 부분에 #을 추가하여 주석 처리한다.

주석으로 처리했다면 ESC를 누르고 :wq를 입력하여 vim을 빠져나올 수 있다.

# bind-address = 127.0.0.1

 

설정이 끝났다면 적용을 위해 MySQL을 재시작한다.

service mysql restart

 

 

포트포워딩 설정

이제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포트포워딩 설정을 할 것이다.

컨테이너 설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포트포워딩 항목이 있다.

구름 IDE를 처음 사용한다면 SSH 하나만 등록되어 있을 텐데, "+ 추가" 버튼을 클릭하여 MySQL을 등록한다.

등록이 완료되면 IP와 외부 포트와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

 

MySQL Workbench에서 연결하기

구축한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MySQL Workbench에서 접속해 볼 것이다.

MySQL Workbench를 실행하고 + 버튼을 클릭하여 추가할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입력한다.

HostName과 Port는 위 포트포워딩 설정에서 확인한 IP와 외부 포트를 입력한다.

 

이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.